본 포스팅은 특정 파일을 원격저장소에 push 하는 법에 대해 얘기하겠다.
git add
"git add 특정파일"은 특정 파일을 스테이징에 업로드하는 명령어이다.
바로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하지 않는 이유는 원격저장소에 업로드할 때 발생하는 충돌 혹은 원치 않는 파일까지 한 번에 업로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이징 영역에서 작업을 하기 위함이다.
우선 경로에 원격저장소가 잘 연결되어 있는지 "git remote -v", "git branch", "git log"를 통해 확인해 보자.
git remote -v : 연결되어 있는 원격저장소 확인
git branch : branch 확인
git log : 로그 확인
이제 원격저장소에 업로드하려는 파일을 add 해보자. 필자는 test라는 파일을 만들어 업로드하고자 한다.
"git add 특정파일"로 스테이징 영역에 파일 업로드하고 "git status"를 통해 스테이징 영역에 잘 업로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git commit
"git commit -m 커밋내용"을 통해 원격저장소에 커밋될 내용을 작성하면 된다.
필자는 "test: upload new file"이라는 내용으로 커밋할 예정이다.
추후에 커밋 내용을 통해 내가 어떻게 코드를 변경했는지 알아봐야 할 뿐 아니라 협업을 진행할 때 다른 분들도 알아볼 수 있는 내용으로 작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커밋 내용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이 있기에 밑에 내용을 참고 바란다.
[Git] Git conventional commit 규칙
본 포스팅을 통해 커밋 진행시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규칙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커밋 [커밋 메시지 구조] "type : subject" "body" "footer" [유형 - type] 1. fix : 코드의 버그를 패치 2. feat : 코드베이스
baembaembaem.tistory.com
git push
"git push"를 기입하여 원격저장소에 파일과 커밋내용을 업로드해주면 끝난다.
업로드시킨 원격저장소에 접속하여 해당 파일이 잘 업로드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git log"로도 확인해 보자.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conventional commit 규칙 (0) | 2023.01.22 |
---|---|
[Git] Github 시작하기 (아이디 생성, 레포지토리 생성, README push) (0) | 2023.01.11 |
[Git] Git tag 설정하기 (0) | 2023.01.10 |
[Git] Git 특정 브랜치 clone (0) | 2023.01.10 |
[Git] Git remote - 원격 저장소 연결 설정 및 확인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