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본 포스팅은 git을 사용할 때 원하는 원격 레포에 잘 연결이 되어 있는지, 혹은 연결되어 있는 레포를 끊고 다시 연결해 보는 작업을 통해 remote 설정에 대해 얘기해 보겠다.
git clone "저장소url" -> git remote -v
우선 특정 저장소를 clone 하여 원하는 경로로 옮겨보자. bash에 특정 경로 "git clone 저장소url"을 기입하면 쉽게 가져올 수 있다.
이후 원격저장소에 잘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git remote -v"를 기입하여 확인해 준다.
보이는 바와 같이 git clone으로 가져온 레포의 url이 문제없이 잘 연동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 remote remove "name"
이번에는 "git remote remove origin"을 기입하여 연동되어 있는 원격 저장소를 끊어줘 보자.
저장소를 끊고 git remote -v를 통해 연결된 원격저장소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url"
다시 원격저장소로 연결하고자 한다면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url"을 기입하면 된다. 원하는 저장소 url을 기입하여 연동하면 되지만 본 예시에서는 이전에 끊었던 저장소로 다시 연결하겠다.
다음과 같이 원격저장소에 잘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격저장소가 지정이 되어있지 않다면 어느 저장소로 push 해야 하는지 알 도리가 없다. 따라서 위 작업을 통해 저장소 연결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자.
728x90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conventional commit 규칙 (0) | 2023.01.22 |
---|---|
[Git] Github 시작하기 (아이디 생성, 레포지토리 생성, README push) (0) | 2023.01.11 |
[Git] Git tag 설정하기 (0) | 2023.01.10 |
[Git] Git add/commit/push 하기 (0) | 2023.01.10 |
[Git] Git 특정 브랜치 clone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