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ello_
728x90
반응형

Linux9

[Linux] tmux 활용하기 본 포스팅은 tmux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tmux tmux는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를 위한 터미널 멀티플렉서이다. 단일 콘솔에서 여러 터미널 세션에 액세스 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창 분할, 세션 관리, 세션 분리 및 재연결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터미널에서 코드를 실행시키다가 컴퓨터가 다운되면 돌아가던 코드가 날아가는 방면 tmux에서 돌리는 코드는 서버가 다운되지만 않다면 컴퓨터가 다운되더라도 코드가 문제없이 작동된다. 시간이 없는 분들은 tmux 명령어 정리한 것만 보셔도 된다. [터미널 내 명령어] 세션 목록 확인 tmux ls 세션 연결 tmux attach -t 세션명 세션 삭제 tmux kill-session -t 세션명 [tmux 세션 내 명령어] 세션창 세로분할 ct.. 2023. 1. 27.
[Linux] 리눅스 명령어 모음 ls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표시합니다. cd -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mkdir - 새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rmdir - 빈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touch - 새로운 빈 파일을 만듭니다. rm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cp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 mv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꿉니다.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표시합니다. echo - 터미널로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cat -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로 출력합니다. less - 파일의 내용을 한 페이지씩 볼 수 있도록 합니다. grep - 파일 또는 여러 파일에서 특정 텍스트 문자열을 검색합니다. find - 지정된 위치에서 파일 2023. 1. 18.
[Linux] 다른 서버로 아나콘다 가상환경 옮기기 본 포스팅은 기존에 잘 사용하던 가상환경을 다른 서버로 옮겨서 사용하는 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첫 번째 방법 - tar 두 가지 방법으로 가상환경을 옮길 수 있는데 첫 번째 방법으로 tar을 사용하여 가상환경을 압축하고 옮기는 방법이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사용해본 바 로 이 방법이 빠르고 편하다. 우선 옮기고자 하는 가상환경이 있는 경로로 이동한다. 일반적인 경로 - '.conda/envs' 이후 해당 가상환경을 tar 명령어를 사용하여 압축한다. tar -cvf [파일명.tar] [가상환경 폴더명] 다시 해당 경로의 파일 목록을 보면, 'sb_dev.tar'이란 이름으로 가상환경이 압축된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압축된 파일을 타깃이 되는 서버에 같은 위치(.conda/envs)로 옮겨준다. 서버.. 2023. 1. 7.
[Linux] gpustat의 다양한 기능 (GPU 모니터링) 본 포스팅은 리눅스 기반의 서버에서 사용자들이 보기 편하도록 gpu를 모니터링해주는 gpustat에 대해 얘기하겠다. gpustat 설치 리눅스에서 gpu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으로 nvidia-smi가 있다. 하지만 이는 모두 흑백에 가시성이 떨어진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가 있는데 바로 gpustat이다. gpustat은 손쉽게 pip를 활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pip install gpustat gpustat 활용하기 gpustat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몇 가지 parameter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한다. --color : 글자색으로 출력문 강조 --no-color : 흑백으로 출력 -u, --show-user : 프로세스 소유자 표시 -c, --show-cmd : 프로세스 표시 -p,.. 2022. 10. 1.
728x90
반응형